“독도는 우리 땅" 선언문 발표하라

작성일: 2005-03-21

대마도(對馬島)도 우리 것…내놓으라 하면 어떨까?

일본대사관 앞에서 나라사랑시민연대 등 단체 관계자들이 `다케시마의 날 제정 및 역사교과서 왜곡 강행 일본규탄 집회'를 열고 있다.
2005새해 벽두부터 고이즈미 일본 총리가 태평양 전쟁의 일급 전범들이 봉안되어 있는 신사(神社)를 전격 방문하여 한국을 비롯한 주변 국가들의 심기를 건드리더니만 다까노 도시유끼 주한 일본 대사가 대한민국 서울 한복판에서 '독도는 일본 땅' 이라고 망언을 하고 나섰다. 독도(獨島)가 자기네 다께지마(竹島) 라고...참으로 어이없다.
여기에 한 술 더 떠 일본의 지방정부 시마네 현(縣)은 ‘다께지마의 날’을 제정하려고 의회에 제정 조례안을 상정하여 통과시켰다니 속 좁은 섬나라 민족의 근성을 버리지 못하고 시도 때도 없이 망발을 일삼는 일본인들에게 독도는 어림없는 소리요 대마도(對馬島)마저 우리 것이니 내놓으라고 하면 어떨까? 억하심정에서 나온 공연한 얘기가 아니다.
조선실록을 살펴보면 세종1년, 그러니까 1419년 6월19일. 남해안에 상륙하여 우리 백성들을 괴롭히고 재물을 약탈해가는 왜구들을 소탕하기 위하여 삼군 체찰사(體察使) 이종무 장군을 선봉장으로 대마도를 정벌하여 대마도 도주 도도웅와(都都熊瓦)의 항복을 받아내고 병조판서 조말생으로 하여금 “대마도는 조선 땅이며 경상도의 계림(鷄林)에 속 한다”는 서찰을 대마도 도주에게 전하였다.
‘대마도는 조선 땅이며 경상도의 계림에 속한다'
또한, 세종대왕은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대마도 도주 도도웅와에게 교지를 내려 ‘도덕과 윤리가 통하도록 하여 멸망의 화(禍)를 자초하지 말지어다’라고 근엄하면서도 추상같은 호령을 내리고 있다. 이때를 을해동정(乙亥東征)이라고 역사는 기록하고 있으며 대마도본시아국지지(對馬導本是我國之地)라고 세종실록 제1권에 뚜렷이 쓰여 있다.
독도는 어떤가? 두 말할 나위없는 우리 땅이다. 서기 512년 신라의 장수 이사부가 독도를 정벌하여 우리 땅으로 삼았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1696년 조선시대, 지금처럼 영유권 분쟁이 일어났을 때 전권대사 안용복이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 조정으로부터 ‘독도는 조선 땅’이라는 인정을 받아냈다고 숙종실록은 기록하고 있다.
일본과 한국은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이것뿐만이 아니다. 글을 가르쳐주고, 종교를 가르쳐준 것이 백제인이었다. 그리하여 일본인들에게 '쿠다라'(百濟)라는 말은 신(神)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일본인들에게 있어서 쿠다라 라는 말은 풍요와 형통의 거룩함 바로 그 자체였으며 경배의 대상이었다. 통신사가 왕래하던 조선 중기까지 일본은 우리에게 머리를 조아렸다.
그렇다면 일본은 왜 이토록 독도에 집착하는가? 독도를 기점으로 영해를 확보하여 어획으로 인한 경제적인 가치와 러시아 과학원에서 비밀리에 조사를 마친 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 부존성에 매력을 느끼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통일 한국이 해양 세력을 이탈하여 대륙 세력으로 등장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왜 독도에 집착하는가?
초강대국 미국이 전략적 유연성이라는 구실을 내세워 주한 미 2사단을 미래형 사단(uex)으로 탈바꿈 하는 등 한국의 반발을 무릅쓰며 주한 미군을 전략 기동군으로 재편성하여 중국을 견제하고 있는 지금의 사태가 그것을 반증하고 있으며 미국의 핵 우산아래 있으면서도 꾸준히 군비를 증강하며 재무장을 시도하고 있는 일본의 ‘보통국가’로의 행보가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통일한국은 그 자체만으로도 일본에 위협이 될 수 있지만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이 대륙의 맹주로 등장하고 통일 한국이 그 영향권에 편입되었을 때 대륙의 힘은 일본의 안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일본의 군사 전략가들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있는 것 같다.
1905년 2월15일 일본 내무성 결정으로 독도를 강점한 후 독도에 비밀리에 망루를 설치하여 9개월 전에 대·소 전함 38척으로 함대를 편성하여 리예파야 항구를 출항한 러시아 발틱함대를 동해에서 궤멸시키고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동해대해전’의 향수와 대륙세에 대한 우월적 자부심을 갖고 있는 일본은 독도의 군사적 가치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1945년 패전국 일본이 전후 처리를 논의한 연합국에 무릎을 꿇고 받아드린 포츠담 선언에서 ‘폭력과 강요로 빼앗은 영토는 돌려준다’ 라고 규정한 카이로 선언을 수용하기로 한 사실을 애써 외면하며 독도에 대한 야욕을 드러내며 분쟁을 일으키는 저의가 바로 거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