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정보화마을 89개 올해 추가 조성
작성일: 2005-05-23
거창 가남마을 지방자치단체가 선진국형
농어촌을 만들기위해 추진하는 정보화마을 선정
행정자치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선진국형 농어촌을 만들기위해 추진하는 정보화마을을 올해 89개 추가조성한다.
행정자치부는 20일에 추가 조성하는 89개 정보화마을을 선정하고 ‘4차 정보화마을 정보콘텐츠 구축사업'에 착수한다고 발표했다.
4차 정보화마을은 행정자치부가 지난해 12월에 선정한 70개 마을과 자치단체에서 올해 추가로 선정한 19개 마을(경기 15, 강원 1, 전북 3)을 포함한 89개 마을을 대상으로 한다.
우선 지난해 선정된 70개 마을마다 상거래형(12개), 체험형(13개), 복합형(상거래+체험·관광형 45개)등 유형별 특성에 맞는 홈페이지를 만들고, 정보화마을 대표홈페이지(www.invil .org)의 인빌뉴스, 전자상거래, 체험관광 등의 콘텐츠를 보완한다.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교육 과정 이력관리를 위한 교육관리시스템도 강화한다.
행정자치부 추경균 서비스정보화팀장은 “89개 정보화마을이 금년말까지 조성 완료되면 전국에 총 280개 정보화마을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시너지효과를 얻고, 전자상거래와 체험관광 등의 마을 수익사업을 통해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농어촌에 인터넷 이용환경 조성하고 전자상거래, 관광프로그램 등을 접목하는 정보화마을은 2001년부터 시작해서 5월 현재 전국에 191개 마을이 있다.
◆ 2005년에 새로 조성하는 정보화 마을
(쪹)는 올해 추가 선정된 마을
△ 부산 : 기장군 임랑아름마을
△ 충북 : 괴산 조령산체험휴양마을, 영동 죽촌 ·용산포도마을, 단양 6쪽마늘마을, 옥천 안남배바우 청정마을, 증평 초중으뜸마을
△ 충남 : 홍성 용봉산산촌체험마을, 부여 세도장군마을, 태안 만리포백사마을, 천안 아우내오이마을, 서산 회포마을, 보령 청라평정마을, 논산 양촌곶감마을, 금산 부리수통마을, 당진 허브마을, 아산 내이랑마을
△ 전북 : 군산 고군산 신시도마을, 정읍 유기농 녹색마을, 완주 구름골마을, 진안 능길마을, 부안 후촌체험마을, 임실 박사골 삼계 세심마을, 김제 남포마을, 전주 평화참게마을, 익산 두여마을, 장수 동동마을, 남원 용전마을(쪹), 순창 국사봉철쭉마을(쪹), 고창 성기마을(쪹)
△ 전남 : 장흥 키조개마을, 곡성 황등들마을, 완도 월항개매기마을, 여수 전복따는 개도마을, 보성 득량공룡마을, 무안 월선리예술촌마을, 진도 물버들마을, 영암 매화마을, 목포 신동장아찌마을, 광양 시종월롱마을, 나주 소포검정찹쌀마을
△ 경북 : 영양 신도반시마을, 포항 금구리맛대추마을, 영덕 무릉도원마을, 경산 비학산학마을, 청도 선바위환경친화마을, 안동 단호박마을, 영천 보현산별빛포도마을, 구미 신라불교초전지마을, 김천 대룡포도마을, 상주 모동얼음골포도마을
△ 경남 : 밀양 산대추마을, 거제 어구마을, 하동 대봉감마을, 창녕 성곡친환경마을, 거창 가남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