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상초등학교 사태 해결 실마리 보인다
작성일: 2009-09-21
도교육청 자율학교 지정 검토 제안 학운위 사태해결을 위해 대책회의 열어
사태 장기화는 양측모두 부담, 대화의 물꼬를 터서 상생의 길 모색 바람직
교장 공모제 시범운영학교 취소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북상초등학교 등교거부사태가 18일째를 맞아 경남도 교육청과 학운위측이 입장차를 조율하여 해결점을 모색하고자 회합을 가졌다. 지난 16일 양측이 박중훈 경남교육포럼 교육위원의 중제로 등교거부 이후처음 간담회를 가졌으나 서원학교운영위원장이 “내년이라도 도 교육감 직권으로 북상초교를 교장공모제로 재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박춘효 경남도교육청 교육국장은 “규정상교장의 임기 만료 및 정년퇴임으로 후임 보충이 필요한 학교만 가능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하며 양측 주장만 확인하며 평행선을 달렸다.
이 처럼 등교거부사태가 장기화 되자 지난 17일 학생 18명의 가정에 등교를 독촉하는 추가공문을 보내며 독촉이후에도 등교거부가 계속되면 도교육감은 초·중등 교육법 및 시행령에 의거 학부모들에게 100만원이하의 과태료를 물릴 수 있다.
학부모들은 “북상초등학교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구체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상호 해결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으로 신뢰가 형성되면 아이들을 돌려보내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그 동안 문제의 발단은 경상남도교육청이 교장공모심사과정에서 학교운영위촉심사위원들이 특정후보에게 점수를 몰아줬다는 이유로 지난 7월31일 교장공모제 시범학교 지정을 취소하고 지난 1일 새교장을 임명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학교와 학부모, 학생, 지역민들의 염원을 저버리고 일방적인 결정에 분개한 자주적 행동으로 불만을 표출해 왔다. 공정하고 원칙과 기준을 지켜 능력있는 교장을 공모제를 통하여 북상초의 변화와 발전을 모색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근본 취지가 퇴색되고 대립과 갈등으로 번지면서 사태가 악화되었다.
지난 18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학운위, 동창회, 지역인사, 학부모, 교직원과 면담을 통해 농산어촌 소규모 학교형 돌봄학교지정 e-러닝교실설치, 사업비지원등 학교발전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제안했으며 교장공모제의 경우 교원초빙 30% 수준이지만 자율학교 50%달해 학교 발전을 위해 보다 많은 교원을 초빙할 수 있고 일반교육과정에 구애받지 않고 학교장이 학교의 특색을 살릴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고 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운위측은 교육청의 제안은 돈으로 회유하려는 것이라며 거절했지만 18일 사태장기화에 따른 대책회의를 갖고 다양한 해결방법과 의견을 조율하고 현행법 테두리 안에서 풀 수 있는 방법 모색에 들어 간다고 지역 군의원이 밝혔다.
거창군도 북상초 사태를 거울삼아 면 단위 초등학교에 대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주민들의 염원과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여 내놓아야 한다.
학운위, 동창회, 학교, 학부모, 교육위원, 지역군의원 등 많은 사람들이 사태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실에서 도교육청은 참교육실현을 위해 재발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방안을 내놓아 금번 사태를 학부모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부모들도 북상초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며 현실적인 지원과 제도적 장치를 보장 받으면서 적극적인 대화속에 하루 빨리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 그리고 교장 공모제의 근본 취지가 훼손되어서는 안되며 제도적 보완으로 더욱 활성화 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전교생 41명 중 학생 20명은 지난 1일부터 교장공모제 시범운영학교 취소에 반발하여 등교를 거부하고 학교인근에 마련된 마을 학교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