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단체장 7억~10억써야 낙점 ‘공천경쟁’이 ‘쩐’의 전쟁

작성일: 2010-04-22

4년마다 반복 지방선거 공천 잡음 … 거창도 각종 루머 난무 함양

구린내 나는 ‘돈’공천 - 공천장사 극심
공천임박… ‘돈다발’ 루머난무
공천권한 막강한 국회의원엔 후보들이 후원금 꽉꽉

지난달 29일 전북도청 기자실 익산시의회 김모의원(민주당)이 시장출마하려 했던 안모 부시장에게 돈을 요구 “경선 참여 5천만원 있어야…” 선관위는 김 의원이 한 지방의원 입후보예정자로부터 공천헌금 7,000만원~8,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수사의뢰. 민주당 익산을지역위원회 지역위원장인 국회의원 공천 장사 비판.
지난 16일 이기수 경기도 여주군수 이범관 한나라당 국회의원에게 공천헌금 2억원 건네려다 의원 측 신고로 출동한 경찰에 현행법으로 채포.

▶ 기초단체장 공천은 7당 6락
6.2지방선거 40여일을 남기고 각당 후보들의 공천확정이 이어지면서 ‘돈 공천’ 등 공천비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일부 국회의원 보좌관들은 “7억원을 내민 기초단체장 공천, 6억원이면 못받는다”는 뜻의 7당 6락이란 말이 나돈다고 한다.
2006년 5.31지방선거 때 5억원 보다 1~2억원 많아진 것이다. 광역지방의원은 3억원 정도라 한다.
공천이 임박해 지면서 각 지역에서 돈다발 루머가 끊이지 않고 있다.
기초의원, 광역의원, 기초단체장 일괄적으로 공천비를 건냈다는 말부터 여론조사 지지도 상승 기회를 주고 유권자에게 돈을 돌렸다는 말들이 돌고 있다. 하지만 공천을 둘러싼 돈거래는 워낙 은밀히 이뤄져 배달사고나 경쟁후보의 폭로가 없는 한 좀처럼 적발이 어렵다. 실제 이뤄지는 돈 공천은 선관위나 경찰이 적발한 것보다 많다는 것이 정석이다.

▶ 전략공천은 “쩐의 전쟁”
전략공천 인재영입 역시 “쩐의 전쟁”이란 비판이 많다.
각 정당 홈페이지에 “○○공천헌금 2억원주고 후보등록도 않했으면 공천받고 ○○는 부패한 공천위원장에게 돈 안내 공천 못받았다.”
▶ 인재는 모르쇠 - 돈 이면 공천 만사형통 자격 무
인재영입은 말 뿐 “쩐의 전쟁”으로 결말. 결론적으로 공천 당선이라는 방정식속에 “쩐의 전쟁”이 극심한 공천 현실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경쟁이 치열할수록 7당6락이 아니라 10당 9락까지 지솟고 있는 것 같다.
선관위·경찰은 배달사고나 경쟁후보의 폭로 없이는 무방비 상태인게 현실이다.
지역의 일꾼은 돈 없이는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후보자는 토로한다.
지난달 31일 중앙선관위는 인천지역 국회의원 보좌관이 지난 2월 기초의원예비후보자로부터 공천헌금 1억원을 다른 후보에게 3천만원을 받은 혐의 등 보좌관이 아니면 제2의 인물이 공천헌금을 받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국회의원과 은밀한 거래를 위해 제2의 인물이 공천후보자들로부터 공천헌금이 천정부지로 뛰는 “쩐의 전쟁”이 지금 한창이다.
지역일꾼 돈받고 뽑는 유권자들의 선거문화가 아니다.
진정한 일꾼을 뽑을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