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급증... 경찰, 방통위 협조하 국제전화에 ‘음성경고’ 도입 추진
작성일: 2011-05-12
2011년 1∼4월 전년비 50% 증가…피해규모 230억원으로 나타나
농촌일수록 고령자 많아 쉽게 당할수 있어 체계적인 대처법 교육 절실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올해 들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1일 경찰청은 오전 10시를 전후로 `자녀를 납치했으니 돈을 송금하라'는 내용의 사기전화가 50대 중년층을 주요 대상으로 삼아 걸려오고 있다며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 하다고 했다.
경찰청은 올해 1∼4월 보이스피싱이 2천196건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 1천477건에 비해 48.6% 늘었으며 피해액도 149억원에서 230억원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발생 시간대로는 오전 10시대 22.4%, 오전 11시대 18.6%, 오전 9시대 13.4%, 낮 12시대 11.6%, 오후 3시대 8%, 오후 1시대 7.6%, 오후 2시대 7.0% 등 낮 시간대에 집중됐다.
경찰 관계자는 피해자 연령별로는 50대가 37.3%로 가장 많았고 40대 19.5%, 60대 17.9%, 30대 9.9%, 20대 7.7% 등의 순이며 피해자의 90% 이상이 자신의 휴대전화로 걸려온 보이스피싱에 속았다고 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자녀납치 빙자가 27.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사기관 사칭 27%, 금융감독원 사칭 15.1%, 우체국 사칭 12.7%, 은행 사칭 12.7% 순 이다.
경찰 관계자는 “자녀와 부모의 휴대전화 번호를 동시에 파악한 범인은 일단 자녀에게 무차별로 욕설 전화를 걸어 전원을 끄도록 한 뒤 부모에게 전화를 걸고 있다고 하며, 자녀 역할을 담당하는 이가 울면서 다급하게 `살려달라'고 연기를 하는데 자녀와 연락이 안되니 속아 넘어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위의 사례를 보듯 갈수록 지능화 되는 추세다.
보이스피싱 조직은 외국에 총책을 두고 국내에 통장모집책, 인출책, 송금책 등을 두는 점조직 형태로 운영된다. 추적을 피하는 데다 발신번호를 공공기관 번호로 조작하는 등 지능화하면서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경찰청은 분석했다.
경찰청은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조, 발신번호를 조작한 국제전화를 아예 차단하거나 전화를 받기 전에 음성으로 국제전화라는 사실을 경고하는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경찰청은 보이스피싱 주범이 주로 외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요 거점이 되는 중국과 핫라인을 구축 수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지 조직 검거에 공조를 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