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 위험, 주민안전 우선해야
작성일: 2012-10-11
함께하는거창의 작은권리찾기모임, 거창읍 비보호신호체계에 대한 여론조사실시
교통신호체계 직진좌회전으로 되돌려야
주민 대다수 비보호좌회전 위험하다고 생각
교통흐름보다 주민안전 우선해야
거창 주민 대부분은 비보호좌회전 교통신호체계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께하는거창 작은권리찾기모임이 거창의 19세 이상 성인남녀 309명을 대상으로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 안전성에 대한 생각을 물었더니 ‘위험하다’와 ‘매우 위험하다’가 각각 33.7%와 59.9%로 무려 93.6%가 위험하다고 답했다. ‘안전하다’와 ‘매우 안전하다’는 각각 3.9%와 1%에 불과했다. ‘매우 위험하다’다고 답한 사람은 여성이 63%로 남성(55.6%)보다 높아 여성이 남성보다 더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에 대해서는 ‘좌회전 시 사고위험이 있어 불안하다’고 답한 사람이 58.9%였으며, ‘좌회전하는 차량 때문에 직진하는 차량이 많이 기다릴 때가 있어 불편하다’와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없이 보행자들이 위험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각각 19.7%와 8.4%였다. 응답자의 78.6%는 비보호좌회전으로 신호체계가 바뀐 후 교통사고가 날 뻔하거나 사고를 목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실제 주민들이 교통사고 위험에 상당히 노출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가장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교차로는 중앙사거리(20.9%), 아림초등 앞 사거리(15.6%), 대성고 앞 사거리(14.4%), 중앙교 북쪽 사거리(12%), 중앙교 남쪽 사거리(10.3%), 거창중 앞 사거리(9.6%), 창동교 남쪽 사거리(8.8%), 창동교 북쪽 사거리(8.4%) 순이었다. 이밖에 서흥여객 앞 사거리도 불편하다고 응답했다.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직진좌회전 동시신호로 환원해야 한다’가 74.4%로 가장 높았으며, ‘도로를 확장해 차선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가 11%, ‘신호주기를 조절해야 한다’가 5.2%, ‘운전자들의 의식을 바꾸어야 한다’가 4.5%로 나타났다.
거창의 교통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는 ‘원활한 교통 흐름보다 안전을 우선’, ‘거창 실정에 맞는 교통정책을 수립’, ‘불법 주정차 단속 강화와 자전거 도로 확보’ 등을 꼽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 7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무작위추출 방식으로 진행했다. 작은권리찾기 모임 김기오 대표는 “인력과 예산의 문제로 전문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 조사하지는 못했지만 회원들이 직접 발로 뛰며 조사한 결과로 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라며, “관계기관이 지금이라도 정확한 주민 의견을 조사하고, 거창의 교통환경에 맞는 신호체계를 마련해 주민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거창군은 지난해 3월 4,275만원을 들여 도로교통공단에 의뢰한 ‘거창군 교통신호체계 개선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를 도입했다. 거창읍 시가지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거창군이 도입한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는 도입 초기부터 교통안전을 위협한다는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대표적으로 거창교 부근은 주민들의 거센 반발로 비보호좌회전으로 전환하자마자 직진좌회전 신호로 되돌리는 소동을 빚었고, 정체가 심한 북부사거리와 법원 사거리는 아예 비보호좌회전을 적용조차 하지 못했다.
교차로에서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발생해 비보호좌회전 신호체계가 교통안전을 위협할 것이라는 주민들의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지난 7월 대성고 앞 사거리에서 덤프트럭이 어린이를 덮친 큰 사고가 나자 거창군과 거창경찰서는 급히 대성고 앞 사거리와 아림초등학교 앞 사거리를 직진좌회전 신호로 되돌렸지만 사후약방문이라는 비난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용역에 대한 신뢰도도 문제다. ‘거창군 교통신호체계 개선용역 계획’을 살펴보면 처음부터 용역을 도로교통공단에 맡기는 것을 전제로 추진해 용역 추진과정의 투명성도 의문이다. 용역 중간 보고회 등에서 자동차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에만 집착해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고, 도로의 폭이 좁아 좌회전 대기차선과 우회전 차선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 등에 대한 의견이 있었지만 거창군은 중요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함께하는거창 관계자는 “거창의 도로여건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건수 올리기 식으로 강행한 전시행정으로 예산만 낭비하고, 결국 주민들만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었다.”라며, “형식적인 용역보고회와 주민의견 수렴이 정책결정의 정당성을 부여하기보다 공무원들의 면죄부 만들기로 전락한 만큼 정확한 감사를 통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