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겨울 독감 유행,초봄까지 주의....2명중 1명은 20세미만

작성일: 2014-02-20

기사 이미지
전국적 독감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환자 급증 각별한 주의 요망속
거창읍내 소아과 마다 소아,청소년 환자로 넘쳐나...


국내 독감 환자 2명중 1명은 20세미만 소아,청소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병,의원마다 독감 환자로 넘쳐 나며 겨울철 뿐만 아니라 초봄까지 유행 할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3월이면 유치원과 각급 학교들이 개학을 앞두고 있어 아이들 위생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지난 18일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의 2009~2013년 진료 통계에 따르면 독감(질병코드J09-11) 환자수는 2009년 1184만명에 가장 많았고 지난해의 경우 21만명으로 5년이내 최소 수준을 기록했다. <2010년 149만 5200명 <2011년 26만 2000명 <2012년 50만 9000명 등으로 해마다 편차가 심했다.
월별로 신종플루가 가을철에 크게 유행한 2009년을 빼면 대부분 매년 1월 또는 2월 환자 수가 가장 많았다.
2012년과 2013년의 경우 최다 독감 발병 시점은 2월이었지만 그다음 환자가 많은 달은 1월이 아니라 3월로 나타났다.
독감이 늦겨울에 절정에 오른뒤 초봄까지 지속되었다는 것이다.
독감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미만 비중이 34.1% 10대14.5% 30대13.5%순으로 나타났다. 결국 독감진료인원의 절반 48.6%가량이 20세미만 소아,청소년이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기침,콧물,가래,두통, 근육통,발열,오한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질병이ㅣ다. 특히 노약자 영유아 임산부 만성질환자등은 일플루엔자에 취약한 독감 위험군으로 감염이 되지 않도록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 및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독감을 예방하려면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거나 항바이러스제를 먹어야 하고 손씻기등 개인 위생 관리에 신경을 써야한다.
독감이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려면 옷이나 손수건 등으로 입을 가리고 기침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요즘 거창읍내 소아과 및 내과 가정의학과 등에 독감으로 인한 소아,청소년,성인등 환자들이 급증하며 진료대기 시간이 평균2~3시간에 이르고 있다.
병,의원 관계자들은 해열제와 항생제를 처방받아 인위적으로 열을 내리고 기침을 멈추는 등 약에 의존해 증상을 없애면 오히려 면역 체계를 강화할 기회를 빼앗겨 장기적으로는 자가 치유능력이 떨어져 다음번에 더욱 심하게 감기를 앓게 된다는 것이다. 성급한 치료보단 근본적인 윈인을 다스리는 올바른 치료법을 선택하는 지혜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