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거창, 통영, 진주 기상대 폐지 방침에 거창군 강력 반발

작성일: 2014-10-15

기사 이미지
거창 기상대 지리적 환경적으로 확대 개편 안 현실적이란 여론 속
거창군 발 빠른 대응으로 차후 거창군과 협의해서 결정 하겠다는
기상청 조직국장의 답변들어....

지난 13일자 국제신문에 경남 기상대 대거 폐지, 기상청 퇴직자에게 위탁한다는 보도가 되었다.
거창, 통영, 진주 기상대는 정리 한 후 지역 기상 서비스 센타로 변경해 민간 위탁을 추진 한다는 것이다.
거창기상대에서는 기상청의 이 같은 방침을 지난 5월에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이 전환 될 경우 사실상 관공서 하나가 거창에서 사라지고 기상대 위상 역시 하락 하여 이름만 지역 기상 서비스 센터란 명칭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
현 거창기상대는 8명의 예보관 및 관측 인력과 경비 미화원 등 11명이 근무하고 있지만 기상대가 폐지 될 경우 관측인력 4명만 남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동안 거창지역의 특정상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등 산악 기후지역의 거점 지역으로 변화하는 기후 특성을 보다 정확하고 발빠른 기상 예보로 지역민들의 안전을 지켜야 한다는 여론이 많았다.
거창, 함양, 합천, 무주, 남원 등을 총괄하는 거점 기상대로 확대 개편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기상청의 이 같은 페지 방안은 부산 기상대의 전문성 및 효율성을 높여 인적 인프라를 구축하여 기후 변화에 대한 서비스 확대와 대기 환경과 졸업생들의 취업을 확대 하겠다는 궁색한 변명이 자리하고 있다.
기상의 정확한 예보는 첨단 관측 장비가 좌우하는 선진국 실태를 보면 우리나라는 기상관측 비행기도 전무하고 기상 레이더 조차도 확보되지 않는 기상관측 후진국 수준이다.
첨단관측 장비 투자는 뒤로 한 채 기상대 폐지론은 현실과 맞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기상대가 폐지 되면 지역 특성에 맞는 기상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한다는 점, 만간위탁 기구의 성격도 전문성과 공공성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결국 지역 중심의 기상정보가 제공 되지 못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민들의 몫이 된다.
향후 거창군 지역 주민들이 하나 되어 거창기상대 폐지에 강력히 대응하여 지켜 내야 할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