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 당하는 현금영수증제도

작성일: 2005-01-24

기사 이미지
가맹점 매출공개 기피 대부분 발급않아 농촌지역 안내문구조차 없어 보완책 절실

정부가 올해부터 현금 사용부분에 대해서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도록하는 '현금영수증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홍보부족과 귀찮다는 이유로 이용자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특히 일부 가맹점의 경우 매출액 공개로 인한 세금인상 우려 등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현금영수증 발급을 기피하고 있어 보완책 마련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0일 국세청에 따르면 신용카드사용 부분에만 소득공제를 실시해왔으나 올해부터는 현금사용 부분에 대해서도 소득공제를 해주기 위해 식당과 마트,백화점을 비롯한 모든 업소에서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도록 규정을 바꿔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관할 세무서에 등록된 2만7천여개소의 경남도내 식당을 비롯한 마트 등 상당수의 업소들이 세원노출과 운영미숙,영수증 발급거부 등 홍보와 인식부족 등으로 거래때 현금을 받고도 영수증처리를 하지않거나 현금영수증 발급기조차 설치하지 않고 있다.
이용자들도 인터넷홈페이지에 가입과 발급때마다 주민번호와 휴대폰번호 등 신상을 밝혀야하기 때문에 더 꺼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형유통업계 관계자는 '현금영수증 발행을 요구하는 손님은 거의 없는 상태'라며 '홍보가 부족한데다 장기간에 걸친 경기불황으로 소비자들이 외상구매나 다름없는 신용카드 사용을 선호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함양과거창·함안·의령 등 농촌지역 유통업체들은 출입구에 안내문구조차 설치하지 않는 등 현금영수증 사용에 대한 홍보활동이 형식에 거치는 데다 소비자들도 현금영수증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거창읍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장모(42)씨는 ‘새해부터 현금영수증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 제도를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라며 '업체들도 세금과표 노출 등을 우려해 현금영수증제도 시행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일선 세무서 관계자는 ‘제도가 시행된지 얼마되지 않은데다 소비자의 인식 부족과 가맹점의 소극적인 태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실적이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경기침체 등으로 소득공제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이용자들이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소비자들은 올해부터 소득공제를 받기위해 5천원 이상 현금거래시 주민등록번호 또는 핸드폰번호를 제시하면 현금영수증을 발급 받을 수 있다.
한태수 기자 taesu878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