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의 그림자, 노인 자살의 현황과 예방대책
작성일: 2005-01-24
도내 자살 인구 중 노인자살 33.5% 차지
우리 나라의 고령화속도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노인 문제가 나타나는데 그 중의 하나가 노인 자살의 문제이다.
자살은 2004년 우리나라 사람의 사망원인 중 5위에 해당하는데, 지난 5년간 전 연령의 자살인구가 54%증가한 반면, 60세 이상의 자살은 121%가 증가하였다.(☞통계청 자료 참조)
이는 경제적·신체적 능력이 미약한 노인인구는 급증하는 반면에 경로효친 사상의 퇴색, 가족부양기능의 약화 등의 사회적 변화가 노인자살을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이라 본다.
노인자살은 단일요인에 의한 청·장년층의 자살과 달리 퇴직으로 인한 직업과 경제력의 상실, 신체적·정신적 능력의 약화, 가족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관계망의 축소 등에 의한 여러 가지 상실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가족으로부터 외면받은 사람일수록 자살사례가 빈번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경남도는 노인자살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를 높이고, 노인자살을 감소시키고자『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자살예방대책』과,『홀로 사는 어르신 안전지킴이 사업』계획을 수립하였다.
노인자살예방대책은 노인자살이 四苦(貧苦, 病苦, 孤獨苦, 無爲苦)로 표현되는 노년기의 고통에서 비롯된 것임에 착안하여 노인복지의 향상을 위한 다각적 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일차적으로 자살을 유도하는 사회적 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① 노인에 대한 사회적 통합 강화, ② 생계곤란형 자살예방대책 강화, ③ 노후건강증진시책 활성화 등 노인복지 증진시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재가노인복지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독거노인 결연사업 등 자원봉사를 활성화할 계획이며, 생계곤란형 자살을 막기 위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을 확대하고 저소득층 노인에게 경로연금 지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보건의료서비스의 강화를 위해 노인건강검진사업, 방문보건사업을 확대해 갈 계획이며, 2007년 국가적인 시책으로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가 도입될 계획으로 이는 만성질환자의 요양비용 부담을 경감하게 되어 건강한 노후생활 보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이차적인 대책으로 자살우려가 있는 노인에게 정신건강 증진·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시군의 정신보건센터, 노인학대예방센터, 재가노인복지센터 등 노인과 접촉이 잦은 사람들로 하여금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상담서비스를 수행하게 할 계획이다.
이러한 자살예방대책의 구체적인 첫 번째 실천방안으로『홀로 사는 어르신을 위한 안전지킴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우리 도내 독거노인 75천여명 중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가족으로부터 적절한 부양을 받지 못하는 10,000명에게 요쿠르트를 배달하고 안전확인 콜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요쿠르트 배달은 총 사업비 11억 65백만원을 투입하여, 독거노인 실태조사, 대상자 선정 등의 과정을 거쳐 7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인데, 요쿠르트 배달원으로 하여금 독거 노인의 생활환경, 안전 사고 여부 등을 매일 확인하게 하여 유사시 읍면동의 사회복지사 및 연고자와 연락·대응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독거노인의 결식·자살·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요쿠르트 배달이 안되는 읍면의 벽지에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인력을 활용할 계획으로 요쿠르트 배달이 불가능한 지역에 사는 독거노인에게까지 서비스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독거노인 안전확인 콜서비스는 시·군청 및 읍면동사무소의 당직근무자가 매일 저녁 관내의 독거노인에게 안부 전화를 하는 서비스로서, 이 또한 행정기관에서 독거노인의 개별적 복지수요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훌륭한 장치가 될 것이다.
노인 자살문제는 지자체의 힘만으로는 예방과 대책이 어렵다. 노인자살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국가와 민간이 함께 노인자살을 부추기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독거노인에 대한 자원봉사자 후원·결연, 효문화 확산으로 인한 건강한 가족기능의 회복, 안정된 노후 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좋은 제도 등의 마련이 그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소외된 노인에 대한 따뜻한 이웃사랑이 확산되어 경남도의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첫걸음이 효과적인 결실을 맺기를 기대한다.